한국고고학보
- 제 66집 2008.3 보기
- 제 65집 2007.12 보기
- 제 64집 2007.9 보기
- 제 63집 2007.6 보기
- 제 62집 2007.3 보기
- 제 61집 2006.12 보기
- 제 60집 2006.9 보기
- 제 59집 2006.6 보기
- 제 58집 2006.4 보기
- 제 57집 2005.12 보기
제 66집 2008.3
제 66집 2008.3 | |
---|---|
<論文> | |
한국의 후기 구석기시대 자연환경 | 한창균 |
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墳丘墓 | 李澤求 |
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 연구 | 공봉석 |
<서평> | |
백제토기 연구의 새로운 지표를 열었다 -『백제토기의 신연구』, 김종만 저 | 土田純子 |
제 65집 2007.12
제 65집 2007.12 | |
---|---|
<論文> | |
금강 유역 원삼국~삼국시대 취락의 전개과정 연구 | 김승옥 |
삼국시대 호등의 출현과 전개 | 李尙律 |
<서평> | |
역사고고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- 法制考古學의 제창 -『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』, 山本孝文 저 | 권오영 |
2007년도 학회소식 |
제 64집 2007.9
제 64집 2007.9 | |
---|---|
<論文> | |
수렵채집사회 거주 유적 출토 식물상의 통시적 변화와 변화 요인의 해석 - 일본 산나이마루야마 유적의 예 | 김민구 |
고구려 고분 출토 와당의 변천 연구 | 강현숙 |
백제의 전남 동부 지역 진출의 고고학적 연구 | 이동희 |
<비평논문> | |
고인류학 연구의 최근 동향을 중심으로 본 인류의 진화 | 이상희 |
<연구보고> | |
말흘리 유적 출토 수착직물의 특성과 유물의 재구성 | 박윤미 |
<서평> | |
삼국시대 평기와 및 고구려 지역 기와 연구의 집성 -『삼국시대 평기와 연구』, 최맹식 저, 『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』, 백종오 저 | 최태선 |
제 63집 2007.6
제 63집 2007.6 | |
---|---|
<論文> | |
사용흔 분석을 통한 석부의 기능 연구 - 중서부 지역 신석기시대~청동기시대 전기 석부를 중심으로 | 윤지연 |
초기철기시대 납-바륨 유리에 관한 고찰 - 실험 고고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| 조대연 |
漢城期百濟 기와 제작기술의 展開樣相 - 풍납토성 경당지구 출토 기와를 중심으로 | 鄭治泳 |
百濟 泗期 石室의 設計와 構造系統論 | 山本孝文 |
<비평논문> | |
"계층 사회와 지배자의 출현"을 넘어서 | 김종일 |
<서평> | |
비파형동검문화권의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도 -『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지역의 청동기문화』, 오강원 저 | 강인욱 |
<시론> | |
이제 '보다 많은'과 '이들 유적'만은 그만 씁시다 | 이희준 |
제 62집 2007.3
제 62집 2007.3 | |
---|---|
<論文> | |
신석기시대의 토기요 연구 - 김천 송죽리 토기요지를 중심으로 | 배성혁 |
두만강 유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변천 과정에 대하여 - 동북한 토기의 편년 및 주변 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| 姜仁旭 |
마제석촉의 변천과 형식별 기능 검토 | 손준호 |
<비평논문> | |
분구묘의 인식에 대한 검토 | 최성락 |
<서평> | |
일본 고대국가 형성론 -『前方後圓墳と社會』, 都出比呂志, 저 | 朴天秀 |
제 61집 2006.12
제 61집 2006.12 | |
---|---|
<論文> | |
3~6世紀 韓半島와 日本 列島의 交涉 | 朴天秀 |
<비평논문> | |
중국 출토 신자료의 검토를 통한 벼의 작물화에 대한 고찰 | 이경아 |
<연구보고> | |
DNA 분석을 통한 백제 매장 양식의 일 연구 - 완주 은하리 고분 출토 인골의 예 | 이준정·김종일·최철희·한영희 ·이세민·조유복·하대룡 ·김상인·김승옥·이승태 |
<서평> | |
세형동검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- 『細形銅劍文化의 硏究』, 趙鎭先 저 | 정인성 |
제 60집 2006.9
제 60집 2006.9 | |
---|---|
<論文> | |
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| 김승옥 |
美松里型 土器의 변천과 성격에 대하여 | 金美京 |
細形銅劍 鎔範의 製作技術 - 주형의 설계 및 새김기법을 중심으로 | 趙鎭先 |
中西部地域 原三國時代 土器 樣相 | 成正鏞 |
삼국시대 壁柱建物 연구 | 權五榮·李亨源 |
<비평논문> | |
얼리터우를 넘어서 - 중국의 국가 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탐색 | 金正烈 |
무문토기와 야요이 토기의 실연대 | 이홍종 |
<서평> | |
고구려 벽화 연구의 지평 확대를 위하여 -『고구려와 비교해본 중국 한, 위·진의 벽화분』, 강현숙저 | 朴雅林 |
<특별기고> | |
<韓國考古學會>의 통합 탄생 과정 | 윤세영 |
제 59집 2006.6
제 59집 2006.6 | |
---|---|
<論文> | |
한국 후기구석기 문화 유형론 | 성춘택 |
火焰形透窓土器 硏究 | 曺秀鉉 |
<비평논문> | |
太王陵의 墓主는 누구인가? | 李熙濬 |
<연구보고> | |
우리나라 古代 짚신의 재료 | 김경희·박원규 |
<서평> | |
청동기시대의 지역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-『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농경사회』, 김권구 저 | 이청규 |
金廷鶴선생님을 追慕함 | 申敬澈 |
제 58집 2006.4
제 58집 2006.4 | |
---|---|
<論文> | |
신석기시대 한일 문화교류와 흑요석 | 河仁秀 |
중서부지역 靑銅器時代 水稻 生産의 政治經濟 - 錦江 중·하류역 松菊里型 聚落體系의 위계성과 稻作集約化 | 金範哲 |
新羅 및 加耶式 鐵鏃의 成立과 擴散 | 禹炳喆 |
경관고고학의 이론적 특징과 적용 가능성 | 김종일 |
<비평논문> | |
일본 야요이시대 연대 문제에 대하여 | 최성락 |
<서평> | |
무령왕릉을 보면 동아시아가 보인다 - 『고대 동아시아 문명교류사의 빛, 무령왕릉』, 권오영 저 | 李漢祥 |
제 57집 2005.12
제 57집 2005.12 | |
---|---|
<論文> | |
호아빈 문화 석기 공작에 대하여 - 베트남 항쪼 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- | 이선복·이준정·이용일·유용욱·김동완·김성남 |
동북아시아 선사수렵채집문화와 일본 산나이마루야마유적 거주민의 식물이용양식 | 김민구 |
한반도 돌대문토기의 형성과 전개 | 千羨幸 |
錦江 중·하류역 청동기시대 중기 聚落分布類型 硏究 | 金範哲 |
倭系遺物을 통해 본 금관가야 세력의 動向 | 井上主稅 |